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붐 율희, 전남편 최민환 상대 양육권 및 위자료 소송 제기

728x90
반응형
728x170

 

 율희, 전남편 최민환 상대 양육권 및 위자료 소송 제기

 

 

오늘은 걸그룹 라붐 출신 율희 씨가 전남편 FT아일랜드 최민환 씨를 상대로 양육권과 위자료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소식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두 사람은 2018년 결혼해 세 아이를 키우며 부부로서 생활했지만, 2022년 말 결국 이혼을 결정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율희 씨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혼 사유와 양육권 포기 이유를 직접 밝혔고, 최민환 씨를 상대로 양육권 변경과 재산분할을 청구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의 이혼 과정과 율희 씨가 법적 대응에 나선 배경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율희와 최민환의 결혼과 이혼 배경

 

 

율희 씨와 최민환 씨는 2018년 초 결혼해 세 자녀의 부모가 되었습니다. 두 사람의 결혼 소식은 많은 팬들에게 놀라움과 함께 축복받았지만, 이혼 소식이 전해진 2022년 말, 많은 이들이 그 배경에 대해 궁금해했습니다. 두 사람은 4년간의 결혼 생활 끝에 각자의 길을 걷기로 결정했고, 이혼 후에는 세 아이의 양육권이 최민환 씨에게로 넘어갔습니다.

 

당시에는 양육권, 위자료, 재산분할 등의 문제가 정리되지 않은 채 급하게 이혼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최민환 씨가 양육권을 가진 이후에도 이와 관련된 재정적 문제에 대해 양측이 합의하지 못한 채 시간이 흘렀다고 합니다.

 

 

 

 

2. 율희의 이혼 사유 폭로와 양육권 포기 이유

 

 

율희 씨는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인 '율희의 집'에서 이혼 사유와 함께 당시 양육권을 포기하게 된 배경을 솔직하게 밝혔습니다. 그녀의 설명에 따르면, 최민환 씨가 업소에 출입하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부터 두 사람 사이에 깊은 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최민환 씨의 업소 출입 소식을 접한 율희 씨는 이를 계기로 이혼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었고, 1년간 서로 시간을 가지며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민환 씨가 먼저 이혼을 요구하며 결혼 생활이 마침표를 찍게 되었습니다.

 

이혼 당시 율희 씨는 아이들을 직접 키우고 싶어 양육권을 요구했지만, 최민환 씨가 제시한 양육비와 위자료가 너무 적어 현실적으로 감당할 수 없었다고 해요. 당시 최민환 씨는 율희 씨에게 양육비로 매달 200만 원을 제안했고, 위자료로는 5천만 원을 약속했지만, 율희 씨는 세 자녀와 함께 살기엔 이 금액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혼 과정에서 소송을 통한 재정적 요구를 더할 힘이 없었고, 아이들을 위한 환경을 충분히 제공할 자신이 없었기에 양육권을 포기했다고 밝혔습니다.

 

 

 

3. 최민환의 성매매 논란과 양육권 논란

 

 

최근 최민환 씨의 성매매 관련 논란이 불거지면서, 그의 양육권 자격에 대한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네티즌들은 그의 논란 이후 율희 씨가 세 아이를 키우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하며 지지의 목소리를 보냈습니다. 또한 최민환 씨는 율희 씨의 폭로 이후 KBS 예능 프로그램인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하차했고, 그룹 FT아일랜드 활동도 중단한 상태입니다. 현재 최민환 씨는 성매매처벌법 위반 및 성폭력범죄처벌법 위반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어, 향후 상황에 따라 양육권 문제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율희의 법적 대응 결정과 소송 과정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율희 씨는 최근 서울가정법원에 양육권 변경과 위자료, 재산분할을 청구하는 조정신청을 접수했습니다. 이번 소송은 그녀가 세 자녀와 함께 안정적인 환경에서 생활하기 위한 결정으로 보입니다. 네티즌들은 이번 소송을 통해 율희 씨가 세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되찾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율희 씨의 이 같은 결정을 두고 그녀의 용기에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번 법적 절차가 율희 씨와 세 자녀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를 바라며, 향후 상황에 대해서도 많은 이들이 지켜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