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상자산 시총 28조원 회복세 소식과 국내 가상자산 전망 알아보기
국내 가상자산
국내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은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2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9조원 (46%) 증가했다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이는 비트코인, 리플,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의 가격이 상승하고,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 (ETF) 등의 출시 가능성이나 긴축정책 완화 등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회복시킨 것으로 분석됩니다.
오늘은 국내 가상자산 시총 28조원 회복세 소식과 국내 가상자산 전망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가상자산 시총 28조원 회복세
국내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이 올해 투자심리 회복으로 다시 증가전환했습니다. 다만 일평균 거래규와 이용자 수는 소폭 감소했고, 일부 코인마켓 거래소는 수수료 매출 등이 없어 사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 9일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발표한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총은 2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6%(9조원) 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원화 기반 거래를 지원하는 원화마켓의 시총은 27조9000억원, 코인 간 거래만을 지원하는 코인마켓의 경우 5000억원으로 나타났고 원화마켓의 경우 66%, 코인마켓은 53% 올랐습니다.
시총 국내 상위 10대 가상자산 중 바트코인, 리플 등 글로벌 상위 10대 가상자산에 포함된 가상자산은 6개로 전년 말 보다 1개 늘었습니다. 금융당국은 주요 종목에 대한 국내 투자 비중이 60%에 달하는 등 글로벌 상위자산에 대한 선호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총은 같은 기간 53% 증가해 1조5400억원을 기록했고 비트코인 가격은 1만6547달러에서 3만441달러로 81% 올랐습니다.
올 상반기 26개 가상자산 거래소의 하루 평균 거래 금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3% 줄었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월별 일평균 거래금액은 올해 2월 4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원화마켓의 대기성 거래자금인 고객 보유 원화예치금은 6월 말 기준 4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11% 늘었습니다.
국내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1399개로, 37개가 증가했고 가격 변동폭은 전년 말 대비 소폭 감소한 62%를 나타냈습니다.
가상자산 거래소의 신규 상장과 거래중단(상장폐지)은 크게 증가했습니다. 주요 거래중단 사유는 프로젝트 위험(사업지속성 등)이었으며, 거래중단 가상자산 중 66%가 단독상장 가상자산(국내 사업자 1곳만 취급)이었습니다.
가상자산 거래규모와 이용자는 소폭 감소했습니다. 계정수는 950만개로 전년 말 대비 228만개로, 휴면계정이 늘고 이용자 복수 계정 폐지 등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기간 원화마켓 계정수는 908만개, 코인마켓 계정수는 42만개로 각각 20%, 8% 감소했습니다.
실제 이용자수는 606만명으로 21만명이 감소했고 가장 많은 이용 연령대는 30대 남성으로 전년 말과 동일하며, 40대(29%), 20대 이하(19%) 순이었습니다.
국내 가상자산 전망
가상자산 시장은 여전히 높은 변동성과 위험성을 갖고 있습니다. 일평균 거래규모와 거래가능 이용자 수는 소폭 감소했고, 거래업자의 자본총계는 마이너스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가상자산 신규 상장과 거래중단도 크게 증가했고, 일부 가상자산은 한국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어서 프로젝트 위험도 높았습니다. 미국과 유럽연합 (EU)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와 제소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상자산 투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상자산의 시세와 트렌드를 잘 파악하고, 자신의 투자목적과 리스크 수준을 고려하며,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